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평촌신도시
- 창동역세권개발
- 박달스마트밸리
- 동탄레이크파크자연앤이편한세상
- 성남1호선
- 입찰가
- 운정아이파크
- 수원재건축
- 1기신도시특별법
- 동탄신도시시세
- 강북대개조
- 경기도철도계획
- 경매분석
- 서울재건축
- 수원아파트시세
- 지하철8호선
- GTX
- 광운대역세권개발
- 부동산전망
- 매교역팰루시드
- 아파트시세
- 충훈부재개발
- 동탄시세
- 평촌재건축
- 1기신도시재건축
- 평촌재건축 선도지구
- GTXD
- 수원1호선
- 1기신도시 선도지구
- 노후신도시특별법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5)
방구석 부동산 중계

1기 신도시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재건축 선도지구가 발표된 후 한 달이 지나면서 당락에 따른 집값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분당의 한 선정 단지에선 선도지구 발표 직전 거래보다 최대 5억원가량 뛴 호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우선 선도지구 3만5897가구 가운데 가장 많은 1만가구 이상의 분당에선 선정 단지 가격이 치솟고 있습니다. 분당 양지마을 금호아파트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분당구 수내동 양지마을 1단지 금호 아파트 전용면적 164㎡는 지난달 1일 23억80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하지만 현재 같은 평형 매물 호가는 최대 29억원까지 나와 있고 선호도가 낮은 1층조차 24억5000만원 이상 호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양지마을 1·2·3·5·6단지는 수내..

12월 28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 A 노선의 정식 운행 개시에 따라 파주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 이동 시간이 기존 90분에서 22분으로 한시간 이상 단축되며 수도권과 서울을 연결하는 교통혁명이 시작됩니다. GTX A 노선은 도심 지하 평균 50m 깊이에 대심도로 직선화된 터널을 통해 최고 시속 180km로 운행됩니다. 이는 기존 지하철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서울 및 주요 거점을 30분 이내에 연결한다는 목표를 실현하며 출퇴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예정입니다. 28일 개통은 서울역까지로 서울역에서 삼성역, 수서역까지 연결하여 동탄까지 완전 개통은 2028년이나 가능합니다. GTX A 이용요금과 이동시간 이용요금은 기본 10km 가준 3200원으로 운정역에서 킨텍스역까지 6..

안양 평촌에서 처음 선보인 하이엔드 아파트가 1순위 청약에서 흥행을 기록했지만, 정당계약에서 대거 미계약이 발생했습니다. 탄핵정국이 이어지면서 불확실성이 커지자 청약통장을 아예 포기하면서까지 당첨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 평촌 아크로 베스티뉴경기 안양시에서 처음으로 하이엔드 브랜드 아크로를 달고 선보인 아크로 베스티뉴는 지난 17일 계약자를 구하지 못한 잔여 물량 220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전체 1011가구 규모의 이 아파트는 지난달 18~20일 특별공급,일반공급을 합쳐 391가구 분양에 나섰다가 이 중 217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된 1~2순위 청약에는 1460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2.49대 1의 경쟁률로 전용면적 59㎡B 주택형의 경쟁률은 8.86대..

정부는 2029년까지 수도권에 그린벨트 해제, 1기 신도시 재건축 등을 통해 42만7000가구를 공급하는 8,8 공급대책을 내놨습니다. 공사비 증가하지만 치솟는 공사비로 주택공급 정책이 제대로 작동되기 힘들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공사비 상승 압박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우선 원자재가격 수급 불균형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물가상승과 층간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시공을 위하여 중간점검, 보완시공, 손해배상 의무화 등 사후확인제를 통해 32평 시공 기준 2800만원이 더 소요됩니다. 이외에도 공사계약 변경에 따른 재료비와 노무비 변경시 5%를 적용하는 조달청의 재경비율이 변경되었고 제로에너지 도입으로 가구당 130만원 시공비 증가 콘크리트 내구성에 대한 국가건설기준 강화 전기차 충전, 화재예방..